바로가기

혁신통계

「지역발전지수(Regional Development Index)」는 지역의 경제력과 생활여건 등 지역발전을 구성하는 제반 요인을 포괄하여 지역의 발전정도를 종합적으로 파악하고 평가하기 위해 만들어진 지수입니다.
지역발전지수는 이렇게 구성됩니다.
    • 지역발전지수는 크게 지역경제력지수와 주민활력지수 부문으로 구성되며, 각 부문은 다시 5개의 하위 평가지표로 구성됩니다.

지역발전지수

지역경제력지수

  • 소득수준
  • 산업발전정도
  • 혁신역량
  • 인력개발
  • SOC/재정력

주민활력지수

  • 주거생활
  • 근로여건
  • 교육여건
  • 의료복지
  • 문화/환경
    • 지역경제력지수는 지역의 경제력을 총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지표로서, 소득수준·혁신역량·인력기반·산업발전·SOC/재정력 지표 등 각 지역의 경제적 역량을 대변하는 5개 하위 평가지표로 구성됩니다.
    • 주민활력지수는 지역 주민의 핵심적인 생활영역을 파악하기 위한 지표로서, 주거생활·근로여건·교육여건·의료복지·문화/환경 등 각 지역 주민생활 여건을 대변하는 5개 하위 평가지표로 구성됩니다.
내가 살고 있는 지역의 발전 수준은 어느 정도일까요?
    • 내가 살고 있는 지역의 발전 수준을 다른 지역과 비교하거나, 과거와 비교하여 알아볼 수 있습니다.
  • 광역경제권별로 구분한 지역발전 수준
    • 2020년 현재 종합지표인 지역발전지수는 수도권이 1위, 충청권이 2위, 제주권이 3위로 나타났고, 강원권이 가장 낮은 순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 전반적으로 산업 집적도가 높거나 산업 성장세가 두드러지고 있는 권역이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2010년과 2020년의 지역발전지수를 비교해보면, 제주권이 5위에서 3위로 상승하고, 대경권이 2단계, 동남권 및 호남권이 각각 한 단계씩 순위가 하락한 것이 특징적입니다.

2020년 지역발전지수, 지역경제력지수, 주민활력지수를 나타낸 표

2020년 지역발전지수 순위

  • 1위 : 수도권
  • 2위 : 충청권
  • 3위 : 제주권
  • 가장 낮은 순위 : 강원권

2020년 지역경제력지수 순위

  • 1위 : 수도권
  • 2위 : 충청권
  • 3위 : 동남권
  • 가장 낮은 순위 : 강원권

2020년 주민활력지수 순위

  • 1위 : 충청권
  • 2위 : 호남권
  • 3위 : 강원권
  • 가장 낮은 순위 : 동남권
  • 지역경제력지수는

    • 2020년 현재 수도권이 1위, 충청권이 2위, 동남권이 3위를 차지하였으며, 강원권이 가장 낮은 순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 2010년과 비교해 보면, 제주권이 한 단계 순위가 상승하고, 대경권이 한 단계 순위가 하락하였습니다.
  • 주민활력지수는

    • 2020년 현재 충청권이 1위, 호남권이 2위, 강원권이 3위를 차지하였고, 동남권이 가장 낮은 순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 2010년과 비교해 보면, 충청권이 두 단계로 가장 큰 폭 상승했고, 수도권과 대경권이 각각 한 단계씩 순위가 상승했습니다. 한편 동남권이 5위에서 7위, 강원권이 1위에서 3위로 각각 두 단계씩 순위가 하락하였습니다.

광역경제권별 지역발전지수 산정결과

2010, 2020년 광역경제권별 지역발전지수(발전지수, 경제력지수, 주민활력지수)에 대한 산정결과 순위(수도권)
수도권 2010 2020
순위 순위
발전지수 6.44 1 6.48 1
경제력지수 6.67 1 6.77 1
주민활력지수 5.84 7 5.83 6
2010, 2019년 광역경제권별 지역발전지수(발전지수, 경제력지수, 주민활력지수)에 대한 산정결과 순위(충청권)
충청권 2010 2020
순위 순위
발전지수 6.10 2 6.17 2
경제력지수 5.98 2 5.96 2
주민활력지수 6.43 3 6.67 1
2010, 2019년 광역경제권별 지역발전지수(발전지수, 경제력지수, 주민활력지수)에 대한 산정결과 순위(호남권)
호남권 2010 2020
순위 순위
발전지수 5.31 6 5.37 5
경제력지수 4.89 6 4.86 6
주민활력지수 6.45 2 6.52 2
2010, 2019년 광역경제권별 지역발전지수(발전지수, 경제력지수, 주민활력지수)에 대한 산정결과 순위(강원권)
강원권 2010 2020
순위 순위
발전지수 5.18 7 5.29 7
경제력지수 4.68 7 4.82 7
주민활력지수 6.52 1 6.40 3
2010, 2019년 광역경제권별 지역발전지수(발전지수, 경제력지수, 주민활력지수)에 대한 산정결과 순위(대경권)
대경권 2010 2020
순위 순위
발전지수 5.50 4 5.35 6
경제력지수 5.36 4 5.10 5
주민활력지수 5.88 6 5.94 5
2010, 2019년 광역경제권별 지역발전지수(발전지수, 경제력지수, 주민활력지수)에 대한 산정결과 순위(동남권)
동남권 2010 2020
순위 순위
발전지수 5.77 3 5.46 4
경제력지수 5.72 3 5.31 3
주민활력지수 5.91 5 5.81 7
2010, 2019년 광역경제권별 지역발전지수(발전지수, 경제력지수, 주민활력지수)에 대한 산정결과 순위(제주권)
제주권 2010 2020
순위 순위
발전지수 5.46 5 5.46 3
경제력지수 5.14 5 5.19 4
주민활력지수 6.31 4 6.08 4
  • 시도별로 구분한 지역발전 수준
    • 2020년 현재 종합지표인 지역발전지수는 서울이 1위, 대전이 2위, 경기가 3위이고, 하위지역으로는 강원(14위), 전남(15위), 전북(16위) 순입니다.

2020년 지역발전지수 순위

2020년 지역발전지수 순위

2020년 지역발전지수 순위

  • 1위 : 서울
  • 2위 : 대전
  • 3위 : 경기
  • 14위 : 강원
  • 15위 : 전남
  • 16위 : 전북
    • 광역시는 최상위 지역 3개(서울 1위, 대전 2위, 울산 4위)와 하위지역 3개(부산 13위, 대구 12위, 인천 9위)로 구분이 가능합니다.
    • 농어촌과 산림지역을 많이 포괄하고 있는 도 지역은 지역발전지수가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나고 있지만, 제조업이 발달되어 있는 경기, 충남은 각각 3위와 5위를 차지하여 상위권에 속하고 있습니다.
  • 농어촌

  • 산림지역

  • 제조업

    • 2010년과 2020년의 지역발전지수를 비교해보면, 제주·충북·인천이 각각 두 단계씩 순위가 상승하며 가장 큰 순위변화를 보였으며 전남·경기·대전도 한 단계씩 순위가 상승하였습니다. 이에 반해 경남은 7위에서 10위로 가장 큰 순위 하락을 보였고, 울산·경북도 각각 두 단 계씩 순위가 하락하였습니다.
2010년과 2019년의 지역발전지수 순위변화
  • 제주 : 10위 → 8위
  • 인천 : 11위 → 9위
  • 경기 : 4위 → 3위
  • 울산 : 2위 → 4위
  • 경남 : 7위 → 10위
  • 경북 : 9위 → 11위
    • 지역경제력지수는 2020년 현재 서울이 1위, 경기가 2위, 대전이 3위를 기록한 가운데, 2010년과 비교하면 제주가 13위에서 9위로 상승하였고, 충북이 9위에서 6위로, 대구가 12위에서 10위로 상승하였습니다. 반면 경남은 7위에서 12위, 경북은 10위에서 13위로 큰 폭으로 하락하였고, 인천·울산도 각각 두 단계씩 순위가 하락하였습니다.
    • 주민활력지수는 2020년 현재 제주가 1위, 충북이 2위, 전북이 3위를차지하였습니다. 2010년과 비교했을 때 전남이 11위에서 4위로 일곱 단계, 충북이 네 단계로 큰 폭의 상승을, 대전과 충남이 각각 네 단계 및 세 단계 하락한 것이 특징입니다.

시도별 지역발전지수 산정결과

시도별 지역발전지수 산정결과
구분 지역발전지수(종합) 지역경제력지수 주민활력지수
2010 2020 2010 2020 2010 2020
순위 순위 순위 순위 순위 순위
서울 6.71 1 6.68 1 7.02 1 7.09 1 5.90 12 5.75 14
부산 5.59 13 5.49 13 5.55 11 5.42 11 5.68 15 5.63 15
대구 5.62 12 5.55 12 5.52 12 5.44 10 5.90 13 5.78 13
인천 5.66 11 5.64 9 5.82 6 5.71 8 5.25 16 5.49 16
광주 5.84 6 5.99 7 5.66 8 5.74 7 6.31 7 6.58 5
대전 6.28 3 6.32 2 6.22 4 6.32 3 6.44 4 6.32 8
울산 6.36 2 6.13 4 6.41 2 6.17 4 6.23 10 6.03 11
경기 6.26 4 6.26 3 6.41 3 6.43 2 5.87 14 5.87 12
강원 5.41 14 5.48 14 5.03 14 5.09 14 6.41 5 6.38 7
충북 5.82 8 6.03 6 5.62 9 5.74 6 6.33 6 6.68 2
충남 6.10 5 6.04 5 5.93 5 5.86 5 6.54 3 6.46 6
전북 5.39 15 5.43 16 4.93 15 4.90 16 6.62 1 6.66 3
전남 5.18 16 5.44 15 4.90 16 4.95 15 5.93 11 6.59 4
경북 5.78 9 5.55 11 5.59 10 5.24 13 6.29 8 6.26 9
경남 5.83 7 5.55 10 5.67 7 5.32 12 6.26 9 6.09 10
제주 5.69 10 5.96 8 5.37 13 5.59 9 6.55 2 6.82 1
첨부파일 정보 표로 첨부파일 목록이 나열되어 있습니다
첨부파일

로그인 닫기

아이디/패스워드를 입력하세요!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