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정책용어사전

과학비즈니스벨트

  • 분야지역산업ㆍ과학
  • 등록연도2013

생성배경

과학비즈니스벨트는 이명박 정부의 대선 공약 사항이었던 ‘국제과학기업도시 벨트 조성’ 사업을 구체화한 것으로 세계적 수준의 기초연구환경을 구축하고 기초연구와 비즈니스가 융합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함으로써 국가경쟁력 강화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하는 사업이다.

이를 추진하기 위해 2009년 1월 13일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종합계획을 확정하고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조성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2011년 12월 31일 공포)과 동법 시행령(2011년 11월 1일 공포)이 제정되었다. 그리고 동법에 근거하여 2011년 12월 2일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기본계획이 확정되었다.

과학비즈니스벨드는 거점지구를 대전 대전연구개발 특구에, 기능지구를 충북 청원군과 충남 천안시, 그리고 세종시에 각각 조성할 예정이다, 아울러 기초과학연구원 산하의 50개의 대덕연구개발특그에 25개를 배치하고 나머지는 광주, 대구, 포항, 울산에 각각 분산 배치될 예정이다.

용어설명

과학벨트는 기능적으로는 창조적 연구환경 조성을 통해 세계적 두뇌가 모이고 과학과 비즈니스가 융합된 국가 성장거점을 의미한다. 공간적으로는 기초연구의 거점기능을 수행하는 거점지구와 거점지구 연구성과를 연계·확산하는 기능지구를 연계한 지역을 의미한다.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의 의미

출처 : 교육과학기술부, 2011,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기본계획(2012~2017)

과학비즈니스벨트는 계획기간(2012년~2017년) 동안 총 5조 1,700억 원을 투자하여 조성될 계획인데 기초과학연구원 설립·운영, 중이온가속기 구축 등 기초연구환경 구축에 총 4조 8,660억 원, 3개 기능지구의 과학-비즈니스 융합 혁신역량 강화를 위한 비즈니스 환경 구축에 총 3,400억 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해외사례

과학비즈니스벨트와 유사한 사례로는 독일의 드레스덴(Dresden)과 미국의 리서치트라이앵글파크(RTP: Research Triangle Park) 등을 들 수 있다. 독일의 드레스덴은 정부 주도로 기초과학연구소(Max Planck)를 유치한 뒤 프라운호퍼연구소 등 20여 개의 국내외 연구기관과 폭스바겐, AMD 등 다수의 다국적 기업들을 유치함으로써 5,000여 명의 과학자들이 지식기반 도시화를 주도하여 인구와 고용의 증가를 이끌었다. 또한 미국의 리서치트라이앵글파크는 1965년 선도기관으로 국립환경보건연구원을 유치한 것을 계기로 120여 개의 연구기관과 170여 개의 첨단기업들이 입주함으로써 세계적인 첨단산업 클러스터로 성장하였다.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의 거점지구와 기능지구

출처 : 교육과학기술부, 2011,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참고자료·문헌

  •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시행계획(2012), 교육과학기술부
  •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기본계획(2012년~2017년)(2011), 교육과학기술부
  •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종합계획(안)(2009), 국가과학기술위원회
  •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www.isbb.go.kr)
  •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조성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조성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시행령
  •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홍보 블로그(blog.naver.com/isbb2030)

작성자 : 이종호(경상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교수)

로그인 닫기

아이디/패스워드를 입력하세요!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