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정책용어사전

공동미니복합타운(Joint Multi Service Complex)

  • 분야문화관광
  • 등록연도2014


2012년 한-미 FTA 발효를 계기로 해외에 진출하였던 우리 기업의 국내 환류투자(U턴)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이에 따라 국토교통부가 이들의 성공적 국내 정착과 지방중소규모 산업단지의 정주여건 개선을 위하여 ‘입지지원 체계’를 구축하며 추진한 「미니복합타운」사업에서 유래를 찾을 수 있다. 지금까지 대부분의 중·소규모 지방산업단지는 산업시설용지 위주로 개발되어 산단에 입주하거나 입주할 계획인 중소기업이 초고령화를 겪고 있는 농촌에서 현지 주민을 고용하는 데 한계가 있었으며, 근로자의 정주환경이 제대로 갖추어져 있지 못해 외지인의 고용도 용이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기업활동과 투자의 어려움을 해소하고자 국토교통부가 교육부, 미래창조과학부, 보건복지부, 통일부 등 관계부처의 협조를 통해 기반시설비 지원, 장기임대주택 공급, 보육원 및 유치원 설치, 다문화가족 및 북한이탈주민 등 사회취약계층의 고용지원 등을 가능하게 하는 정주환경 조성계획을 세웠다(국토교통부, 2012, 보도자료)(http://www.kdi.re.kr/infor/ep_view.jsp?num=121839).



미니복합타운은 ‘산업단지 근로자 정주여건 조성사업’을 의미한다. 이는 산업단지 인근에 주거(임대주택 등), 문화(도서관, 영화관 등), 복지시설(보육원, 유치원 등) 등 산업단지 근로자의 정주여건을 개선하기 위하여 추진하는 소규모 단지개발사업이다.


출처 : 국토교통부, 2012, 보도자료, ‘국내 U턴기업 및 중소기업 지원대책 추진’

그림 1

미니 복합타운(Multi Service Complex) 개념도

 

 

 

 



나아가 3~4개의 산업단지를 권역화하여 하나의 정주기반이 갖춰질 때 이를 ‘공동미니복합타운’이라 한다. 이를 통해 근로자의 정주여건 개선은 물론 산단 입주기업의 지원기능도 용이해져 중소기업의 투자활성화 및 산업단지 분양활성화도 기대된다.


출처 : 국토교통부, 2012, 보도자료, ‘국내 U턴기업 및 중소기업 지원대책 추진’

그림 2

공동미니복합타운(Multi Service Complex) 개념도

 

 

 

 



2012년 2월 경기 포천시와 충남 예산군을 시범사업 지역으로 선정한 데 이어, 10개 지역을 추가로 선정하여 총 12개 지역에 미니복합타운 사업이 확대되어 추진되고 있다. 정부는 중소기업 인력난 해소, 산업단지 정주환경 개선을 위해 지역에서 추진 중인 미니복합타운에 다양한 지원 방안을 마련하여 추진 중에 있으며 향후 지속적으로 점검·보완해 나갈 계획이다.


<표 1> 12개 미니복합타운 사업지역 개요

*미니복합타운 면적은 개발계획수립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음

출처 : 국토교통부, 2015, (http://www.kdi.re.kr/infor/ep_view.jsp?num=121839)



·

부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

기장

포천

강릉

충주

제천

예산

완주

영광

장흥

고령

창녕

함안

면적

(천)

340

158

70

100

276

48

408

52

190

66

128

150

산단고용

(명)

9,284

9,000

3,000

5,700

2,200

4,710

25,000

8,000

13,178

7,106

9,057

10,000

공동미니복합타운은 과학기술도시(technopolis)를 소규모로 집약시킨 변형적 형태라고 볼 수 있다. 원래 테크노폴리스는 기술(Technology)과 도시(Polis)의 합성어로 1980년대 초 일본에서 최초로 사용하였다(강병수, 2004).

테크노폴리스는 산(첨단기술산업군), 학(학술연구기관) 및 주(쾌적한 생활환경 및 도시서비스)의 세 가지 기능이 조화된 도시환경과 정주여건을 바탕으로 고급 노동력의 확보를 용이하게 하고 지역발전을 도모하려는 목적을 두고 있다. 테크노폴리스와 관련한 해외의 대표적 사례로는 일본의 쓰꾸바 과학도시, 미국의 Route 128, 실리콘밸리, RTP(Research Triangle Park), 프랑스의 소피아 앙티폴리스(Sophia Antipolis), 대만 신죽첨단산업단지 등이 있으며, 우리나라의 대덕 테크노밸리도 이에 해당한다. 

이러한 테크노폴리스가 첨단산업을 중심으로 대형의 도시체계를 갖추고 있는 반면, 공동미니복합타운은 지방 중소도시의 산업단지를 거점으로 소규모 정주체계를 갖춘 것이 차이점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테크노폴리스의 개념을 차용하여 앞으로 지방 산업단지에 보다 나은 주거환경이 갖추어지면 이를 바탕으로 산업구조의 고도화가 이루어져 지방의 균형발전을 도모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김정홍, 2009).



·강병수(2004), ‘테크노폴리스의 형성과 성장의 역사적 과정’, 도시행정학보 V.17 n.2: 65∼83

·김정홍(2009), ‘국내외 대학 중심의 테크노폴리스 조성 사례와 시사점’, 산업경제분석, KIET 산업경제 : 48∼57

·국토교통부 보도자료(2012.3.13), 국내 U턴기업 및 중소기업 지원대책 추진

·국토교통부 보도자료(2015.2.5.), 미니복합타운 적극 지원 계획


 작성자 : 황지욱(전북대학교 교수)



로그인 닫기

아이디/패스워드를 입력하세요!

위로